2025년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 발표로 전국민 대상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이 확정되었습니다.
이번 지원은 보편지급과 맞춤형 선별지원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소득 수준과 거주 지역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지원금 외에도 소비 활성화를 위한 할인 쿠폰, 지역화폐 혜택, 소상공인 부채 탕감까지 포함되어 있어 꼭 확인해보세요.

 






1. 전 국민 민생회복 쿠폰 지급 규모

이번 추경에서는 2회에 걸쳐 전국민 대상 민생회복 쿠폰이 지급됩니다.

소득 구분총 지급 금액
상위 10% 15만 원
일반 국민 25만 원
차상위계층 4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 50만 원
인구소멸지역 거주자 추가 2만 원
 

총액은 소득 수준에 따라 15~50만 원, 지역에 따라 최대 52만 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


2. 지급 방식은? 카드 또는 지역화폐 선택

지원금은 다음 네 가지 방식 중 선택해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용카드 포인트
  • 체크카드 포인트
  • 선불카드
  •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역화폐 선택 시 소득공제율 등 추가 혜택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3. 지역상품권 구매 혜택까지!

지급 외에도 본인이 지역상품권을 구매할 경우 할인 혜택이 주어집니다.
할인율은 거주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지역 구분할인율
수도권 10%
비수도권 13%
인구감소지역 15%
 

👉 비수도권과 인구소멸지역 거주자는 더 많은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4. 숙박·공연·영화 할인 쿠폰 780만 장 배포

코로나 이후 침체된 내수 활성화를 위해 할인 쿠폰도 대거 배포됩니다.

항목할인 내용
숙박 1박당 2~3만 원 할인
영화관람 1편당 6천 원 할인
공연예술 1만 원 할인
 
  • 총 780만 장, 선착순 제공
  • 영화관·티켓 예매처에서 배포 예정

5. 소상공인 채무 탕감 확대

영세 자영업자와 취약계층을 위한 채무 탕감 제도도 포함됐습니다.

  • 7년 이상 연체자 143만 명 대상
  • 최대 5천만 원까지 탕감
  • 원금 90% 감면 대상 확대 → 기존 취약계층 → 저소득층까지 확대

새출발을 원하는 분들에게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6. 건설 경기 부양 위한 자금 지원

  • 자금난 겪는 중소 건설사3조 원 규모의 금융 지원
  • 미분양 주택 1만 호를 2028년까지 정부가 조건부 매입

지역 건설경기 회복과 주거 안정까지 고려한 정책입니다.


마무리: “모두에게, 더 필요한 곳에 더 많이”

이번 추경은 단순한 보편 지급이 아닌, 실질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계층에 집중된 재정 정책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취약계층과 지방경제를 위한 배려, 내수 진작을 위한 촘촘한 설계가 돋보이는데요.
지원금 신청 일정과 방식은 곧 행정안전부와 지자체를 통해 구체 공지 예정이니, 뉴스 알림 또는 정부24 사이트를 주기적으로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