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미리 자녀 통장을 만들어 증여하는 부모들이 많습니다. 부자들이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자녀 통장에 주식을 사주는 이유, 그 방법, 그리고 증여세 신고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부자들이 자녀에게 미리 증여하는 3가지 이유

  1. 증여세 비과세 혜택 극대화
    • 미성년자: 10년마다 2천만 원 비과세
    • 성인: 10년마다 5천만 원 비과세
    • 출산 직후부터 10년 단위로 증여하면 총 1억 4천만 원까지 비과세 가능
  2. 복리 효과 활용
    • 지금 증여하면 그 돈을 투자해 불린 후도 비과세
    • 증여하고 나서 불어난 수익까지 세금 없이 물려줄 수 있음
  3. 어릴 때부터 경제 교육
    • 자녀에게 직접 투자 경험을 줄 수 있음
    • 주식 계좌를 열고 투자해보는 훈련

 

❗하지만 이런 점도 꼭 고려하세요

  • 내 자산 여력이 중요한 기준
    • 내 집 마련도, 노후 준비도 안 됐다면?
    • 무리해서 아이에게 증여할 필요는 없음
    • 결혼·출산 시 1억까지 비과세 증여 가능

📌 자녀 통장, 어떤 걸 만들까?

1. 예적금/파킹 통장

  • ❌복리 효과 적고, 수익률 낮음
  • ❌금리 찾아 옮기느라 번거로움

2. 일반 주식 계좌 (위탁계좌)

  • ✅모든 종목 투자 가능 (ETF, 테슬라, 달러 등)
  • ❌세금 발생 (배당소득세, 양도소득세)
  • ✅운용의 자유도 높음

3. 연금저축펀드

  • ✅세액공제 및 과세이연 혜택
  • ❌만 55세 이전에 인출 불가
  • ❌투자 가능 종목 제한 많음

결론:
ETF만 투자할 거라면 연금저축
그 외 다양한 투자를 원하면 일반 계좌 추천


💡 자녀 계좌에서 어떤 종목을 사야 할까?

  • 단타 금지! 장기투자 필수
  • 아이 계좌는 한 번 사고 오래 보유하는 방식 추천
  • 국내 주식보다 미국 ETF 추천

추천 종목:

  • S&P 500 ETF
    • 국내 상장 ETF (예: TIGER 미국S&P500 TR)
    • 해외 ETF (예: IVV, SPY 등)
    • TR (토탈리턴) 종목은 배당 재투자해 수익률 높임
    • 장기 보유에 유리

📄 증여세 신고 꼭 해야 할까?

YES! 무조건 신고해야 합니다
2천만 원 이하라도 신고하지 않으면, 나중에 불어난 금액 전체가 증여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음

📆 신고 기한

  • 이체한 달의 말일로부터 3개월 이내
  • 홈택스에서 신고 가능

🧾 증여세 신고 시 필요한 서류 4가지

  1. 가족관계증명서
  2. 기본증명서
  3. 자녀 계좌 거래내역서
  4. 계좌 확인서

주의: 아이 명의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해야 해외 주식 거래내역 발급 가능


🖥 증여세 신고 방법 간단 정리

  1. 홈택스 회원가입 (자녀 명의)
  2. 세금신고 → 증여세 신고 → 일반 증여세 신고
  3. 증여 금액 입력
  4. 계산 → 저장 → 제출
  5. 신고 부속서류 제출 (서류 4개 첨부)

🤔 매달 나눠서 증여하고 싶다면?

  • 매달 신고는 번거로움
  • "유기 정기금" 신고 방법 검색
  • 추천: 한 번에 이체하고 한 번에 신고

결론 요약

상황추천 행동
여유 자산 無 굳이 자녀 증여 안 해도 됨
자산 여유 有, 5억 이상 물려줄 계획 지금부터 증여 시작
장기투자 가능 미국 S&P500 ETF 추천
세금 줄이고 싶음 증여세 신고 꼭 하기!